카테고리 없음

나스닥 주가 상승 이어갈까

kondratieff-52 2022. 3. 18. 09:37
반응형

나스닥 1.33% 상승

유가 9% 상승

10년물 국채 금리 지속 상승으로 2.192%닷. 곧 2.2% 헉.

2.5%경에서 한번 주가 충격이 올듯.

매수는 했는데 어떻게 될것인가?

올해 손해 안보고 7% 이익 봤으니 그 정도로 된 것 아닌가. 욕심을 버리고

불경을 외우고 기다려 보자.

옴마니 반메홈 옴마니 반메훔

비트코인이 혼선이다.

조금 선행이니까 다음주말 매도하고 기다려 볼 생각이다.

시그널로 간주한 아톰.

아직 최저치가 아니라 시그널이 안왔다.

대체로 상승했다. 빨갱이들이 죽었다.

공포지수 회복중. 주가 상승할려나.

항셍이 또 7% 올랐다. 놀라우이. 인도 센섹스도 약진

대장주 알리바바가 12.5% 올랐다.

결국 사필귀정이구나. 어디서 듣던말인데.

아 돌아가신 이재명씨 형님 아들이 한말이구나. 이재명이 떨어져서 너무나 행복한 밤이었다는 기사를 봤다.

브라질도 상승.

코스피도 상승. 물타기 고고고

계속 주가 상승이 이어질것인가?

아니면 하락해서 쫄닥 망할것인가?

향후 경기 둔화에 영향을 줄지 여부에 주목

물가 안정을 위한 연준의 강한 긴축 정책이 경기를 둔화시킬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채권시장에서 2년물과 10년물 일드 커브가 20bp대로 좁혀지면서 향후 금리 역전 가능성도 예상되는 상황이다.

장단기 금리 역전은 채권시장에서 경기 침체의 신호로 해석된다.

어머나 진짜내.

1980년 이후 비슷하게 보이네. 헉

아직은 아니고 2025년 경 폭망이겠지.

2월 산업생산은 전년 동월대비로는 7.5% 증가

그래 아직은 주가 대폭락할 시기가 아냐.

중형급 하락이고 2025년까지 돈 벌고 킵 헤지 못하면 벼락거지되는거야.

한스가 2025년 조심하라고 경고 했지.

https://blog.naver.com/dline1secret/222646162923

연준 금리 인상에 따른 연승 연장

야후 파이넨셜

우크라이나 전쟁과 그 전쟁이 세계 경제에 미칠 잠재적 영향에 다시 관심을 돌리면서 유가가 다시 급등했다.

195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LPL Financial의 데이터에 따르면 성 패트릭의 날은 역사적으로 주식에 있어 1년 중 "가장 친환경적인" 날 중 하나인 경향이 있다. S&P 500은 평균 0.37% 상승하여 최고의 날 중 하나가 되었다.

뱅크레이트의 그렉 맥브라이드 수석 재무 분석가는 "연준은 금리를 인상함으로써 인플레이션을 길들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팬데믹 시대의 경기 부양책을 완화하는 과정을 시작했다"

"이것은 한 번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올해 남은 기간과 내년에도 일련의 금리 인상의 시작이다."

LPL 파이낸셜의 라이언 데트릭 수석 시장 전략가는 "연준은 크게 흔들리지 않았다"

"네, 그들은 인플레이션을 증가시키면서 2022년에 경제적 기대를 낮췄지만 그 중 많은 부분이 이미 가격에 반영되었다. 전반적으로 그들은 여전히 ​​강한 성장을 보고 있어 회복을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된다.”

연준의 앞으로의 길은 동유럽의 지정학적 혼란으로 인해 여전히 불투명하다.

러시아 침공에 대한 제재로 인해 최근 몇 주 동안 분쟁이 세계 경제 상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졌다.

연준은 회의에서 나온 성명에서 미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불확실하지만" 이미 수십 년 동안 치솟았던 인플레이션 압력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인정했다.

버핏은 이번 주에 옥시덴탈 석유 공사(OXY)의 주식 1,810만 주를 추가로 구매하여 회사의 지분을 14.6%로 끌어올렸다. 이번 조치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유가가 급등하면서 미국 석유 대기업을 부양하는 데 따른 것이다.

버크셔의 클래스 A 주식은 S&P 500이 연초 대비 약 12%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2022년에 10% 상승했다. 목요일까지 연장된 안도 랠리에 앞서 화요일(연중 50거래일)의 벤치마크 지수는 사상 6번째로 최악의 출발을 기록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