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오늘의 세계 주식 해설 엔스엔피 대스크로스 맞다. 바닥시기 전망

kondratieff-52 2022. 3. 15. 07:58
반응형

나스닥이 2% 빠졌다.

10년물 국채 금리가 2.14%까지 올랐다. 헉

유가가 102달러로 상당히 빠졌다.

금은도 내렸다. 뭐지?

엔이 오르고 참 특이한 움직임. 물론 미국 금리 인상 여파다.

나스닥 계단법 하락법 3단계 진입

한스

사이비 도사 한스의 발명품으로 4단계쯤 오면 일시 대드캣바운스로 본다.

한 5일 정도.

뭐 뇌가 정상적인 사람들이라면 현금 보유를 많이 하고 그냥 기다리는게 당연하다.

꼭 굿이 한스같이 호기심으로 맞추기를 해본다던가 사고쳐서 돈을 잃고 싶으신분들은 붙으면 된다. 내돈도 아니고. 즉 리스크 빵빵이다.

지금 다시 3단계에 왔다.

내일 4단계 오려나.

그러면 예정대로 18일 새벽이나 17일 밤에 단타 진입이다.

책임은 안진다. 배 찢어

이글이다.

https://blog.naver.com/dline1secret/222670412377

기술주 대폭락 중이다. 10년물 국채 금리 상승 여파인듯 하다.

특히 미국상장 중국주 알리바바 10.3% 하락

오마이갓. 부디 성투하시길.

BE 10% 하락

테슬라도 니튬등 원자재가 올라 차량 가격을 또 올릴 예정이다.

주가 상승에 마이너스 요인이다.

헉 중국 상장 미국주 이 무쉰일이래요.

사건이다. 기업 실력과는 무관한.

이또한 지나가리라.

진짜 좋은 매수 기회가 오고 있다고 생각한다.

선행으로 보고 있는 코인들이 내리고 있다.

한스가 최선행으로 지목한 아톰

최저가로 떨어지는지가 관건이다.

그후 1달 이후 바닥을 조심하자.

즉 선행이다.

세상에 오래 살고 보니 항셍 근 5% 하락도 보는구나.

반면 인도 센섹스는 1.6% 올랐다.

한스는 신경 안 쓰고 펀드로 중국주 인도주를 매달 매입중이다.

오매 알리바바 10.9% 하락.

이런 날도 있구나.

멍거옹이 여기서 서거 하시는 구나. 안돼.

그러나 님들은 멍거옹을 넘어 성공을 이어가갈 바란다.

2020년 3월 코로나와 같은 사건 사고에 의한 하락이다.

기업 실적과는 무관하다.

절호의 매입 찬스가 오고 있다.

무디 잘 되시길.

어제 올린 골드만 삭스 전략가의 항셍주 의견

https://blog.naver.com/dline1secret/222672694834

브라질도 1.6% 하락

역시 어제는 인도가 킹.

코스피는 터널의 끝이 멀지 않았다.

계속 물타기로 간다.

3월 16일 러시아 디폴트 가능성이 있다.

세계 경제도 어느정도 영향을 받을것이다.

4월 15에 러시아에 다시 디폴트 가능성이 있다.

하여튼 푸틴의 사고로 민폐가 극심하다.

이래서 한스는 공산주의 사회주의 똘아이들을 극협한다.

전쟁광들.

당장 유엔 상임 이사국 자리들을 박탈해야 한다.

러시아는 이제 경제 재제로 중후진국으로 전락할 것 이다.

S&P500 데스 크로스 맞다.

한스

이는 1-2달후에 주가 바닥을 맞을수 있다는 뉴스가 된다.

진바닥이 아닐수는 있다.

역사적으로 보면 그렇다.

나스닥은 이미 맞았고

한스가 바닥 시기 전망도 했었다.

4월 초 전후다.

나스닥은 기술주가 지수를 낮추면서 3일 연속 손실 2% 하락

야후 파이넨셜

전쟁이 계속되고 인플레이션이 치솟는 가운데 연준의 다음 통화 정책 결정을 기대하면서 이전 상승세를 소진하고 대부분 하락세로 마감했다.

러시아 우크라간 4차 회담이 결렬되었다고 한다.

우크라가 러시아군 전면 철수를 주장함.

미국 원유 가격(CL=F)은 배럴당 $103 아래로 2주 최저치를 기록했으며, 평균 휘발유 가격은 미국 전역에서 갤런당 $4.30 이상으로 기록적인 수준을 유지했다.

한편, 중국 주식은 규제 압력에 대한 우려와 중국과 러시아의 관계가 더욱 높아짐에 따라 변동성을 유지했다. 지난 주말 미국 관리를 인용한 보도에 따르면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을 위해 중국에 군사적 지원을 요청했다.

이번 주 미국 투자자들은 수요일에 발표될 연준의 최신 통화 정책 결정에 주목했다. 시장 참가자들은 중앙 은행이 팬데믹 기간 동안 시행했던 통화 정책 완화 조치를 제거하기 위한 첫 번째 주요 조치를 취함에 따라 연준이 2018년 이후 처음으로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회의에 앞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미 이달 초 의회에 3월 회의에 이어 25bp의 금리 인상을 지지하겠다고 밝혔다.

골드먼 삭스는 "앞으로 몇 달 동안 25bp 대 50bp 논쟁은 우크라이나 전쟁에 달려 있다.

전쟁으로 인해 에너지 가격이 상승하고 재정 상황이 악화 되었으며 해외 성장 전망이 낮아져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높아지고 성장률이 낮아졌다.

경제학자 얀 하치우스는 "우리는 FOMC가 전쟁으로 인한 세계 경제의 하방 위험이 줄어들 때까지 50bp 인상을 주저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는 "그러나 우리는 전쟁이 연준을 회의당 25bp(0.25%)의 금리 상승을 막지는 못할것.

이 회사는 올해 7차례의 금리 인상이 있고 2023년에는 4차례 금리 인상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인플레이션이 일년 내내 불편할 정도로 높게 유지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FOMC는 추가 긴축 위험이 경제를 침체로 몰아넣는다고 생각하는 경우에만 일시 중지할 것이다."

지정학적 측면에서 인플레이션과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골드만삭스의 전략가들도 S&P 500의 목표 가격을 새로 낮췄다.

David Kostin이 이끄는 전략가들은 이제 S&P 500이 금요일 종가에서 10% 상승한 4,700에서 마감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 이전 목표인 4,900과 비교된다.

회사는 또한 S&P 500 주당 순이익이 이전에 볼 수 있었던 8% 성장에 비해 올해 더 급격히 감소하여 5% 증가에 거칠것으로 보고 있다.

[한스 생각]

키친사이클 하락때는 현금 보유가 킹이다.

한스는 현금을 1월 5일에 거의 매도하여 이후 90% 이상 현금을 보유중이다.

지금도 그렇다.

올해 수익률은 여전히 7%다.

4월초 전후에 바닥일 가능성이 있어 재 진입을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진바닥이 아닐 가능성도 있어 상반기중에는

데드캣 바운스를 의심하고 리밸런싱 할 예정이다.

https://blog.naver.com/dline1secret/22265484987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