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매크로 지표로는 올해 매수 기회온다.

kondratieff-52 2022. 2. 14. 15:13
반응형

경제는 주식시장이 아니다

거의 일반적으로 받아 들여지는 속담이 있다.

지속적인 약세 시장은 경기 침체에만 왔었다.

경기 침체 이외의 상황에서는 -20% 이상의 하락을 안내고 빠르게 회복했다.

경기 침체 가능성을 평가는 도움이 된다.

4가지 거시경제 지표는 경기 침체를 알리는 신뢰할 수 있는 실적을 가지고 있다. 신용 스프레드, 노동 시장 상황, 수익률 곡선 및 컨퍼런스보드 경기선행지수(LEI)는 1950년 이후의 모든 경기 침체 전에 경보를 울렸다.

더욱이 이들은 주식 시장보다 더 자주 경기 침체를 알렸다.

신용 스프레드

채권 거래자는 시장에서 가장 똑똑한 사람들이다. 규모가 크다.

금융 시장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신용이 선행 지표였기 때문에 일리가 있다.

신용 스프레드는 경기 침체 이전에만 악화된 것이 아니다.

그들은 또한 주기적 주식 고점에 앞서기도 했다.

채권 거래자는 미래의 기업 채무 불이행을 예상하기 위해 실제 경제 활동을 추정해야 한다. 역사적으로 대체로 성공적이었다.

최근 미국 기업 신용 스프레드는 안정적이었다.

미국 채권시장에서 스트레스가 확인된다면 주가가 랠리를 끝내고 경기가 침체에 빠지기까지는 여전히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역사적으로 신용 스프레드가 확대된 후 주가 폭락까지 몇 개월이 걸렸다.

노동 시장

두 번째 차트는 지난 70년 동안의 미국 노동 시장 상황을 요약한 것이다.

실업률과 공식 NBER 경기 침체를 회색으로, 노동 시장 강도를 검은색으로 표시한다.

실업률은 모든 경기 침체를 앞두고 주기적으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노동 시장은 강세를 보이며 오늘 경기 침체가 임박했다는 신호가 아니다.

코로나 위기 속에서도 정리해고에서 회복 되고 있는 중이다.

장단기 금리 역선 수익률 곡선 (Yield Curve)

80년대 후반에 듀크 대학교의 캠벨 하비 교수는 수익률 곡선을 연구한 결과 미국 경제가 침체에 빠지기 전에 역수익률 곡선과 유의미한 관계를 발견했다.

오늘날 수익률 곡선은 정상이며 우상향한다.

더욱이, 수익률 곡선 역전 이후 주식이 정점을 찍기까지 평균 5개월이 걸렸다. 수익률 곡선은 아직 약세 신호를 나타내지 않는다. 그것은 단지 우리가 후기 사이클 단계에 있음을 나타낸다.

10년 과 3개월 몰 차

경기선행지수

컨퍼런스보드 경기선행지수(LEI)는 10개의 경제 지표로 구성된다.

경기 침체가 있기 9개월 전에 최고점을 찍었다. 게다가, 지표는 지난 8번의 경기 침체 중 7번의 경기 침체에 대해 정확하게 경고했다.

이 신호는 70년대 더블딥 경기 침체의 두 번째 부분만을 놓쳤다.

이는 장기간의 경기 침체의 일부였을 수 있기 때문에 전적으로 학문적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지표는 차트에서 볼 수 있듯이 70년대 침체의 두 번째 하락이 있기 7개월 전에 최고점을 찍었다.

이 지수는 지난 달에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으며 1주일 후에 다음 발표에서 더 높은 최고점에 도달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주식 시장은 LEI가 절정에 달한 지 3개월 후에 주기적 조정을 시작했다. 따라서 약세장에 대한 신호는 없다.

결론

미국 주식 시장은 아직 정점을 찍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

거시 경제 지표는 사이클 후반 단계가 시작되었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주식은 그 단계에서 플러스 수익을 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월 말 저점을 다시 테스트할 가능성이 있으며 심리 지표는 여전히 비관적이다.

결론은 앞으로 험난한 여정에도 불구하고 S&P 500이 5000-5200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Bulls는 1월 저점을 다시 테스트할것이다. 그것은 아마도 올해 최고의 매수 기회가 될 것이다.

출처 Macro Indicators Signal Best Buy Opportunity Of The Year

Feb. 13, 2022

[한스 생각]

항상 말하지만 중형급 하락으로 본다. 대형급은 아니다.

키친사이클 하락이다.

이사람 같이 낙관적이지는 않지만 중형급 하락이다.

폭락하면 매수한다.

단기적으로 너무 오르면 리밸런싱 한다.

다시 폭락하면 또 매수한다.

하반기 이후는 상승할수 있으므로 리밸런싱은 안하거나 주의한다.

https://blog.naver.com/dline1secret/2226461629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