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내부정보 발설 주식 결과. 배당주 인도주식 그리고

kondratieff-52 2021. 12. 18. 17:41
반응형

우리가 돈을 잘 못 버는 이유가 있다.

그이유중 하나는 지나친 욕심과 쫄보라서 그렇다.

결코 주식 정보가 부족해서 돈 못 버는게 아니다.

오를 주식 정보는 흔하게 널려 있다.

봐봐봐

배당주

한스

한스가 개인적 리스크를 지고도 이런 유료정보를 무료로 공개 해버리쟎아.

누가 고발하면 한스는 콩밥 먹을지도 몰라.

고발 안할거지?

그러나 배째.

다 팔자지뭐.

https://blog.naver.com/sadami68/222597553417

PetroChina Company Limited

봐봐봐 혹시 천재지변으로 주가가 안 오른다해도 배당율 10.5%야

미치지 않았니?

미국에서 파이어족 가령 돈 10억원 쳐박고 주가 상승 수익으로 먹고 사는

해외 여행족들도 기대 수익이 연 7%이고

연 4%를 소비하고 사는거야.

그런데 배당율 10.5%

그리고 10년안에 주가도 천천히 오를껄.

이건 당연히 엄청 좋은 정보지.

그런데 안사지?

그러니까 정보가 부족한게 아냐.

한스도 이런 정보 옛날부터 무지무지 뿌리쟎아.

돈 못버는것 다 욕심과 두려움 때문이야.

소탈하게 투자해. 남들과 비교하지 말고.

인도 주식

한스

한스가 이 무료 전자책에도 적을만큼 인도의 장래를 최소 10배 성장국으로 보고

반세기후 세계 패권 후보국이라고 작년에 썼었어.

봐봐봐 미국의 유명 회사들 인도인 CEO 천지지.

마소 구글 아마존 등등등

CEO를 몇십년씩 해먹냐?

아니지 이사람들 중 상당수는 인도로 가서 사업을 일으키겠지

https://blog.naver.com/dline1secret/222585195886

대만 반도체 회장 그시기 처럼 말이야.

그런데 인도는 이미 IT에 관해서는 세계 수준의 대학이 널려 있고

인재가 넘쳐나.

그럼 어떻게 되겠어.

그렇지

당연히 인도 IT 산업이 발전하게 되는것이지.

지금은 싼 인건비를 이용한 IT 서비스를 하다가 점차 다 잡아 먹는거지.

https://blog.naver.com/dline1secret/222297921269

기계 산업도 이에 버금가.

인도인들이 영어가 되쟎아.

글로벌 회사들이 많아.

뭐 기술이 그냥 흘러 들어가는 가지.

인도 주식 직접 거래는 10개 정도 밖에 안되기 때문에

인도 펀드를 추천해. 장기 적으로 투자해야해

봐봐봐 1년 수익률이 40%씩 50%씩 막 나오쟎아.

이런게 세상에 흔치 않지.

한스도 인도 펀드 작년부터 투자하고 있어.

펀드는 직접 투자 안되는 종목까지 투자해 주거던.

https://blog.naver.com/dline1secret/222523924027

올해 인도 주식은 대성공했지.

내년 상반기에 키친 사이클 하락으로 주춤할수도 있지만

인도 은행에서 금융지원을 계속 하고 있고

장기적으로는 정기 매수에 적당할것 같애.

내부 정보 발설주식

한스

소소할수 있지만 한스가 내부 정보를 발설한 주식이 있지.

일본 트럭 제조 1위 회사 이스즈지

쫄닥 망했나 보자.

애또 그러니까 내부 정보를 발설한 날짜가?

그리고 한스가 감방 갈 날짜가?

https://blog.naver.com/dline1secret/222164468201

애 되게 오래된것 같았는데 작년 12월 6일이었네.

즉 1년전 발설

그럼 주가는?

어 무서워

엉 9.86달러가 12.99달러밖에 안올랐네.

31.75% 상승이네. 우짜톤 돈 벌었쟎아.

돈 까먹은 사람들 천지인데

욕심 안부리면 31%라도 버는 것이야.

최근에 주가가 좀 빠져서 그렇지.

흐흐흐 기회가 오고 있다.

지금 매수 고고고

그런데 일본 시장의 이스즈 주식은?

1031엔이 1482엔으로 올랐네 즉

43.7% 올랐다. 현실이냐?

한스는 일본 시장 이스즈에 가는겨?

지금부터 매월 일정액 투입하면 이것 이상 벌겠다.

왜 한스가 내부 정보를 발설하고 있쟎아.

아는게 힘이야. 믿음이지.

이상 지옥블 감방간 한스였습니다.

욕심을 버리고 과감히 지르고 아는 정보중에 투자하자.

좋은 주말되세요.

반응형